오예남

[LTE 기초] RACH 란? (Random Access Channel) 본문

무선통신

[LTE 기초] RACH 란? (Random Access Channel)

오예남 2021. 9. 28. 22:43

[LTE 기초] RACH 란? (Random Access Channel)

이미지 출처 : www.pixabay.com

 

오늘은 RACH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자.

무선통신 분야에 발담궈보셨다면 RACH 라는말은 수도없이 들어봤을거다.

나또한 처음에는 라치라치 그러길래 뭔소린가 했는데 2년차쯤 되니 이제 대충 이해하겠다..

물론 갑자기 물어보면 답변 불가능 ^~^

 

 

 


RACH (Random Access Channel)

스마트폰의 전원을 켰을때 내 폰이 기지국으로 보내는 첫번째 메세지라고 생각하면된다. (UE -> eNB)

네트워크(CDMA, GSM, WCDMA, LTE) 마다 부르는 이름은 조금씩 다른데 기능은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WCDMA,LTE 에서는 'RACH', CDMA 에서는 'Access Probe' 라고 하는데 중요하지 않으니 패스하겠다.

 

RACH는 특히 LTE에서 굉장히 중요한 기능을 맡고 있는데,  두가지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UE와 eNB 사이의 Up link 동기화

-> 통신에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동기화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다운링크(송신기=eNB / 수신기=UE)에서는 특수한 채널에서 동기화 신호가 모든 사용자에게 브로드캐스트되면서 계속해서 전송됩니다.

하지만 업링크(송신기=UE / 수신기=eNB)에서는 이렇게 계속해서 동기화 신호를 보내는 메커니즘은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에너지 낭비, 다른 UE에 간섭 가능성 높음) 

 따라서 RACH를 통해 필요한 상황에서만, 그리고 필요한 단말에게만 Up link 동기화를 진행해야합니다.

 

2. Msg3 에 대한 자원 확보 (예: RRC Connection Request)

-> RACH는 단말과 기지국이 RRC Connection 상태가 되기위해 사용합니다. RRC Connection 이란 무선통신망에서부터 단말이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데이터 연결 등 가능한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