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QA자동화
- QA자동화테스트
- testautomationuniversity
- pytest
- HTTP
- 무선통신
- 카카오API
- 테스트자동화
- 코딩
- Python
- 코멘토실무PT
- 앱개발
- HTML
- 실무PT후기
- javascript
- LTE기초
- 자동화테스트
- 감사일기
- 웹ui자동화
- QA직무교육
- 코딩테스트
- Selenium
- Flutter
- ShareTechnote
- 하이브리드앱테스트
- DART
- QA
- 백준
- 서평
- 코멘토
- Today
- Total
오예남
LTE Basic Procedure [Initialization Sequence]_ShareTechnote 본문
LTE Basic Procedure [Initialization Sequence]_ShareTechnote
LTE 연결 과정 순서
초기값 설정 순서 : 전원을 켜고부터 PRACH 까지
아래 순서는 전원을 켜고부터 첫 PRACH 까지의 각 단계를 나열한 것이다. 비록 간단해 보이지만, 이 단계들 각각은 단말 안에서 발생하는 가장 복잡한 절차가 될 수 있다. 더 어려운 것은 많은 단계들이 3GPP 스펙에 명확하게 정리되어있지않고 많은 부분이 단말 구현에 달려있다. 게다가, 만일 너가 모바일 디바이스 기술자라면, 이 절차에 대한 세부적인 로그가 많지 않아서 너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비록 그것이 사용 가능하더라도 오랜시간이 걸릴것이며 그 로깅에 익숙해질때까지 연습해야한다.
i) 단말 종료
ii) 단말 전원 ON
iii) < 주파수 탐색 > : 셀 탐색에 앞서 전체 주파수 중, RSRP가 가장 높은 대역을 찾음.
iv) Time and Frame Synchronization : In this process, PSS and SSS will be decoded as well.
- 셀과의 동기화를 위해 셀 탐색을 해야하는데 이때 어떤 신호를 어떻게 받아야 할지 기준이 필요하다.
셀 동기화를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PSS와 SSS라는 동기신호를 브로드캐스트 하고, 단말은 이를 읽어내어 셀에대한 동기화를 진행 할 수 있다.
*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출처 : https://frontjang.info/entry/LTE-%EC%85%80-%ED%83%90%EC%83%89Cell-Search-%EA%B3%BC%EC%A0%95 )
v) PCI (Physical Cell ID) detection
vi) MIB decoding : 단말은 이 과정에서 시스템 대역폭과 Transmission mode를 알 수 있다. ( Downlink Frame structure에서 본거같이, MIB/PBCH는 center frequency 주위의 6RB에 위치한다. MIB 디코딩의 성공은 전체 밴드의 signal quality가 좋다는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 Transmission mode : LTE에서 안테나로 송신하는 방법 각각에 대해 이름을 붙인것.
예) Transmission mode 1 (TM1) 은 Single Transmission Antenna and Signgle Reciever Antenna
( 참고 : https://www.sharetechnote.com/html/Handbook_LTE_TransmissionMode.html )
vii) Detect CSR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and perform Channel Estimation and Equalization.
이 과정에서, 단말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친 reference signal을 검출/측정 할 것이다. 그래서 이 단계에서 측정된 RSRP/RSRQ는 전체 신호 품질의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
viii) Decode PDCCH and extract DCI information for SIB. PDCCH 는 전체 대역폭에 뿌려지고 전체 대역폭의 신호 품질은 이 단계에서 충분히 좋아야한다.
* DCI(Downlink Control Indicator)
( 참고: https://www.sharetechnote.com/html/DCI.html )
viii) SIB deconding (SIB1이 먼저 디코딩 되야하고 그다음 SIB2, 그리고 남아있는 SIB들이 디코딩 되야한다.
ix) < Cell Selection > : 단말은 다수의 적합한 셀을 찾겠지만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HPLMN 셀로 캠프를 시도한다.
* 통신에서 Camp on 이란? : 단말이 셀에 머무르면서 potential dedicated service를 시작하거나 진행중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받을 준비가 된 단말의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x) < Initial RACH Process >
Note 1 : 단말은 적합한 셀을 찾기 전에 3~8단계를 여러번 반복할것이다. 이 절차는 셀 탐색 과정의 일부분이다.
Note 2 : 5번 단계인 PCI detection은 4번단계(time, frame 동기화)의 결과로서 자동으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무선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 기초] RACH 란? (Random Access Channel) (0) | 2021.09.28 |
---|---|
[LTE 기초] RSSI 란?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0) | 2021.09.27 |
LTE Basic Procedure [Frequency and Bandwidth Detection]_ShareTechnote (0) | 2021.09.24 |
LTE Basic Procedure [ LTE 기초 정보 ] (0) | 2021.03.02 |
LTE Basic Procedure [ LTE 기초] (0) | 2021.02.08 |